분류 전체보기 16

R-value와 L-value

대입문 x = x + 1이 있다고 하자. 이때 왼쪽의 x와 오른쪽 x의 의미는 다르다. 왼쪽의 x는 L-value로, 변수가 나타내는 메모리 위치이다. 반면, 오른쪽의 x는 R-value로, 변수의 값이다. 변수가 R-value로 처음 사용된다면, 초기화가 필요하다. (예를 들어, 위의 예시에서 x 변수의 값을 x 변수의 메모리 위치로 넘겨주려하는데, 변수가 초기화 되어있지않아서 값이 없다면 넘겨줄 수가 없는게 당연하다.)

[ C언어 기초 ] 8. 함수

함수(fuction) :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의 모음에 이름을 붙인 것이다.- 함수는 입력을 받아서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여서 결과를 반환하는 상자와 같다. - 각각의 함수에는 이름이 붙어 있으며, 우리는 함수를 호출하여서 작업을 시킬 수 있다. - 함수는 작업에 필요한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,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작업의 결과를 호출자에게 반환한다. - 프로그램에서 되풀이되는 작업은 함수로 작성 가능하다. - 우리가 함수를 호출하면 컴퓨터는 호출된 함수 안의 명령어들을 수행하고 결과를 반환한다. - 함수의 특징 : 함수는 서로 구별되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. 그리고 함수는 특정한 작업을 수행한다. 또, 함수는 입력을 받을 수 있고 결과를 반환할 수 있다. - 함수의 중요성 : 함수는 코드를 ..

[ C언어 기초 ] 7. 배열

배열(array) : 동일한 데이터 유형의 요소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 구조. 한 번에 여러 개의 변수를 생성 가능.ex) 10개의 정수를 저장할 수 있는 배열은 다음과 같이 선언. s는 배열의 이름이고 s 안에는 10개의 정수를 저장 가능. - int s[10]; - 이러한 배열은 인덱스를 사용하여 각 요소에 액세스할 수 있다. 이를테면, 배열의 첫 번째 요소는 인덱스 0에 위치하며, 두 번째 요소는 인덱스 1에 위치하고, 이런식으로 계속된다. 변수 선언이 단독 주택이라면 배열은 아파트 단지이다. 단독 주택에는 한 가구만 살지만, 아파트 단지에는 여러 가구가 동시에 거주할 수 있다. 배열의 이름은 아파트 단지 이름으로 생각할 수 있고 인덱스는 아파트의 호수에 해당한다. - 인덱스(index) : ..

[ C언어 기초 ] 6. 반복문

반복(iteration) : 같은 처리 과정을 되풀이 하는 것.- 반복문이 없으면 비슷한 코드를 여러 번 작성해야 하므로 코드가 복잡해지고 길어지고 유지보수가 어려워진다. - 반복문의 종류 1. while 문(조건 제어 반복) : 조건이 만족되는 동안에는 반복을 계속하는 구조. - 미리 반복 횟수를 알 수 없는 경우에 사용. - 조건식이 참(true)인 동안 코드 블록을 반복적으로 실행. - 기본 구조 : while ( i

[ C언어 기초 ] 5. 조건문

3가지 기본 제어 구조 : 순차, 선택, 반복* 5. 조건문에서는 주로 선택 구조에 대해 다룸.- 순차 구조(sequence) : 명령어들이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구조.- 선택 구조(selection) : 여러 개의 명령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실행되는 구조.- 반복 구조(iteration) : 동일한 명령어가 반복되면서 실행되는 구조.- 순서도(flowchart)로 나타낸 구조if-else 문 - 선택 구조가 필요한 이유   - 여태까지는 순차 구조를 이용했다. 이 구조만 사용한다면 프로그램은 항상 동일한 동작만을 되풀이할 것이기 때문에, 별로 쓸모 없다(자율 주행 자동차가 장애물 앞에서 멈추지 않는 것처럼).   - 선택 구조는 조건을 검사하고 조건에 따라 실행되는 명령어를 다르게 할 수 있다.- i..

[ C언어 기초 ] 4. 수식과 연산자

수식과 연산자- 수식(expression) : 피연산자와 연산자의 조합 - 연산자(operator) : 어떤 연산을 나타내는 기호 - 피연산자(operand) : 연산의 대상이 되는 것 ex) 수식 (5 * 8)에서 5와 8은 피연산자이고 *는 연산자이다. 또한 모든 수식은 값을 가짐. 수식 (5*8)의 값은 40. 수식은 항상 계산값을 반환한다고 생각하기. 연산자의 분류- 증감 연산자 : 단항, ++ -- - 대입 연산자 : 이항, =, +=, -= - 산술 연산자 : 이항, + - * / % - 관계 연산자 : 이항, > = - 조건 연산자 : 삼항, ?: * 단항, 이항, 삼항 연산자로 나뉘는 것은 피연산자의 수에 따른 것이다. 산술 연산자(+, -, *, /, %) : 기본적인 산..

[ C언어 기초 ] 3. 자료형

자료형(data type)- 자료형 : 변수가 가질 수 있는 값들의 종류. 데이터의 종류. 데이터 타입.   * C언어는 자료형이 엄격하기로 유명하다고 한다.   - 자료형 구별은 귀찮을 수 있지만, 이러한 특징 때문에 C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의 실행 속도가 빠르다.   - C언어에서는 변수 선언시 반드시 자료형을 명확히 적어줘야 함(반면, 파이썬은 변수의 자료형을 적지 않아도 됨).   - 정수형으로 선언된 변수는 정수만을 저장 가능, 부동소수점형은 실수만을 저장 가능, 문자형은 하나의 문자만을 저장 가능.   - 각 자료형은 정해진 비트 개수를 갖고 있다. 비트 개수에 따라 나타낼 수 있는 수의 범위가 달라짐.     - 자료형의 크기      - sizeof 연산자를 사용하며 자료형의 크기를 알 수..

[ C언어 기초 ] 2. 변수와 입출력

변수(variable) - 변수 선언 방법 : 자료형 변수이름;   ex) int x;   - 변수 선언이란 컴파일러에게 지금부터 이러한 변수를 사용하겠다고 미리 알리고 어떤 종류의 데이터가 그 변수에 저장되는지를 미리 알리는 것이다.   - 변수를 선언하면 메모리 공간에 값들을 저장할 수 있는 상자가 만들어진다고 보면 된다. 메모리 공간에 변수가 만들어지고 이름이 붙여진다.   - 참고) 파이썬은 변수를 선언하지 않고도 사용 가능   - 변수 여러 개를 한 줄에 선언 가능. ex) int x y; - 변수는 메모리 공간의 일부를 사용하는 공간이다. 변수는 컴퓨터 안의 메모리 공간에 만들어진다. - 변수 이름으로 변수들을 구별한다. - 변수의 초기화(initialization) 방법 (변수를 선언 + 값..

[ 책 리뷰 ] 오늘부터 개발자

저자 : 김병욱출판사 : 천그루숲   [ 개인적인 생각 ]IT 지식 관련해서 나무보다 숲을 보는 것이 필요한 상황이였던 나에게 잘 맞는 책이다.이 책은 IT 업계가 어떤지부터 시작해서 관련 지식, 공부 방법 조언 등이 읽기 쉽게 쓰여져있다. IT에 대한 지식이 아예없는 사람들에게 특히 추천한다.  [ 알아두면 좋은 내용 정리 ]  클라이언트(client)단 : 고객이 보는 화면--> 이것을 개발하는 개발자를 '프론트엔드 개발자'라고 함 적립금, 쿠폰 처리 등의 로직처리들은 서버에서 처리함---> 이것을 개발하는 개발자를 '백엔드 개발자'라고 함   1. 프론트엔드 : 우리(client)가 이용하는 앱(또는 웹페이지)의 앞부분(front)을 만드는 개발자 - 웹 프론트엔드 개발자와 앱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..

독서/IT 2024.07.10
반응형